메뉴 건너뛰기

목회칼럼

1. 세겹줄 기도회가 무엇인가요?
- 세겹줄 기도회는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나니 세겹줄은 쉽게 끊어지지 
  아니하느니라”(전4:12)는 말씀에 근거하여 세 사람이 한 조가 되어 함께 간구하면서, 기도와 연합의 
  능력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특벽새벽기도회입니다.
  
2. 기도짝은 어떻게 구성하나요?
① 기본 3~4명으로 자유롭게 조를 구성합니다.
② 남녀끼리, 목자(녀)끼리, 부부끼리, 같은 목장 식구끼리는 안 됩니다.
③ 단, 새가족들이 목장에 아직 적응하지 못했을 때는 목장 내에서 짝을 정해도 됩니다[목자(녀)조로 편성].
④ 평소에 친한 사람들끼리 구성하지 말고, 잘 모르는 사람끼리 조를 구성하면 좋겠습니다.
   ※ 조를 못 정하시는 분들은 교역자들에게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⑤ 3~4명이 한 조로 구성이 되면, 그 중에서 조장을 한분 세웁니다.
⑥ 조장이 되신 분이 최종명단을 작성한 신청서(양식-주보삽지)를 사무실에 제출합니다.
 
3. 세겹줄 특새 기간, 어떤 기도제목을 나누면 되나요?
① 기도제목은 우선적으로 특새 기간에 응답 받기 원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한 두 가지만 정해서 기도합니다.
② 기도제목이 응답이 되면, 다른 기도제목을 정합니다.
③ 응답받은 기도의 제목들은 “홈페이지-삶나눔”에 올려서, 응답의 은혜를 공유해주시기 바랍니다.

4. 특새 기간 세겹줄 조는 어떻게 활동하나요?
① 특새 전에 함께 모이거나, 카톡 등을 활용해서 기도 제목들을 사전에 함께 공유합니다. 
② 한 주간 하루 한 번씩 서로 소통하며, 기도응답을 확인하고, 출석을 격려합니다
③ 취침 전, 기도짝들의 기도제목을 가지고 기도합니다.

5. 세겹줄 기도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① 세겹줄 기도회는 새벽5시에 시작됩니다. 
  ※ 특새기간 중, 일찍 출근하실 분들은 교회에 미리 오셔서 개인기도를 하신 후 
     세겹줄 기도회가 끝난 뒤 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② 순서에 따라 찬양,기도,말씀,찬양,합심&세겹줄 기도로 진행됩니다. 
③ 특새 기간, “아직도 가야할 길”(M.스캇펙,율리시즈)이라는 책에 기초해서, 담임목사님께서 말씀을 나눠주십니다. 
   ※ 특새 도서는 사전에 미리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③ 특새 기간, 코로나 상황을 고려해서, 세겹줄 조원끼리 같은 자리에 앉되, 거리를 두고 앉습니다.
③ 합심기도 후 이어지는 세겹줄 기도 시간에는 손을 잡지는 않고, 근처에 앉되, 거리를 둔 상황에서, 
   기도시간에 조원들의 기도제목을 가지고 각자 기도하게 됩니다.

6. 기타 안내
① 이번 특새 기간 차량은 운행은 하지 않습니다. 목장별로 협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차량 편성시, 마지막하차는 동성끼리 할 수 있도록 부탁드립니다.) 
② 교회당은 4시30부터 기도할 수 있도록 개방됩니다.
제목 날짜
다운공동체교회 미니연수(2박 3일) 안내 2024.03.26
목회칼럼은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단 댓글은 실명(로그인)으로만 쓸수 있습니다. 2020.06.19
사역은 Doing 아닌 Being입니다.   2024.01.18
‘확신의 삶’을 통한 영적 변화에 도전합니다!   2024.01.25
2024년 사역을 위한 준비완료!   2024.02.01
많이도 보았구나!   2024.02.08
설립 34주년을 맞이하여 싱목수,청목컨에 참여한 싱글과 파워틴의 감사   2024.02.15
한국교회에서 ‘씨수소’의 역할을 꿈꾸며   2024.02.22
갈비탕이 제공되는 첫 결혼예배 (3)   2024.02.29
양순안 목사와 필립 전도사 이야기   2024.03.07
780차 평신도를 위한 가정교회 세미나 안내 (2024.04.05.~07.)   2024.03.09
사도행전, 선교지 방문 그리고 두 번째 선교잔치   2024.03.15
존경하는 원로 & 담임목사님들과 함께하는 고난주간특새   2024.03.21
너희는 왜 우리랑 달라? & 너희는 왜 우리랑 똑같아?   2024.03.27
평세를 앞두고 히사코 목자님의 삶을 소개합니다.   2024.04.04
다시 하나님의 임재 가운데 영혼구원이 있는 목장을 향하여   2024.04.11
다운공동체답게 하는 아름다운 문화 세 가지   2024.04.18
그림으로 보는 오월의 주요사역   2024.04.25
‘무너지는 부모’ 입니까?   2024.05.02
경미야 이렇게 하면 될까?   2024.05.09
긴장이 풀릴 때는 자녀(손주)들을 생각하십시오.   2024.05.17
강원도에서 쓰는 편지   2024.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