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목회칼럼

미친존재감 - 삶공부



 


우리가 꼭 필요한 존재, 없으면 안 되는 사람에게 쓰는 표현이 “미친 존재감”입니다. 마찬가지로 신앙생활에서 있어서 말씀이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저는 성경공부(삶공부)를 <미친존재감>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가정교회에는 세 개의 축이 있습니다. 목장과 예배와 삶공부입니다. 이 세가지 축이 균형을 이루어야 건강한 신앙생활이 가능합니다. 목장의 나눔을 통해서 우리는 정서적인 채움을 받습니다. 예배를 통해서 우리는 의지적으로 믿음의 결단을 하게 됩니다. 삶 공부를 통해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생각의 변화 받습니다.


생각이 변해야 삶이 변하기 때문에 삶공부는 변화된 삶을 살기 위한 뼈대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뼈대가 있어야 그 위에 살을 붙여도 형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처럼 우리의 신앙생활 역시 말씀공부가 기초가 되어야 든든히 세워집니다. 이처럼 말씀공부는 신앙의 뼈대(기초)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선택 사항이 아니라 반드시 힘써야 하는 필수 사항입니다.


 


삶공부에는 다섯 가지 필수과정이 있습니다. <생명의삶> - <새로운삶> - <경건의삶> - <확신의삶> - <하나님을 경험하는 삶>입니다. <생명의 삶>은 우리의 신앙생활의 가장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새로운 삶>은 그 지식을 바탕으로 성경적가치관과 교회관을 정립하게 해서 그리스도인다운 새로운 삶을 살도록 돕습니다. <경건의 삶>은 실제로 우리의 삶 가운데 경건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확신의 삶>은 목자와 목원을 말씀 안에서 하나로 묶어 줍니다. <확신의 삶>을 통해서 목자는 목원에게 영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진정한 영적 리더가 될 수 있고 목원은 목자를 목장의 영적리더로 인정하게 됩니다.


 


제가 <확신의 삶>을 강조하는 이유는 목자중심의 가정교회가 바로 서기 위해서는 목자가 목원에게 영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직까지 목자보다는 담임목사를 찾는 이유는 목자와 목원 간의 말씀 안에서의 영적인 교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아무쪼록 <확신의 삶>을 통해서 목사같은 목자, 개척교회 같은 목장이 많이 새워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저에게 있습니다.


시간의 희생이 있더라도 <확신의 삶>에 도전해 보는 목자, 목녀님들이 되었으면 합니다

제목 날짜
다운공동체교회 미니연수(2박 3일) 안내 2024.03.26
목회칼럼은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단 댓글은 실명(로그인)으로만 쓸수 있습니다. 2020.06.19
몸무게가 줄어든 것을 보면서...   2018.11.03
몸살에서 벗어나려는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2023.10.19
몽골 목회자들을 위한 ‘섬김’ 제안   2023.09.07
무거동 부지 공영주차장화를 위한 민원 협조   2021.04.24
무심한 아들놈 (1)   2015.05.09
무엇이라도 합시다.   2014.02.22
무척산 기도원을 다녀왔습니다.   2020.05.08
문득 10년을 달리고 뭘 얻었나 생각해 봅니다 (1)   2013.08.07
미디어사역 개발원에 바랍니다. (1)   2008.12.28
미래의 다운공동체 리더십을 위한 3040 가정교회 기초다지기   2022.07.28
미친존재감-삶공부   2011.09.02
믿음의 씨앗을 정직하게 심읍시다.   2013.07.13
믿지 않는 남편을 구원하려면   2017.02.10
바베큐 파티로 초대합니다^^; (5)   2013.04.05
박목사가 ‘행복의 길에 집중하는 이유’   2019.07.27
박목사가 제정신이 아닙니다!   2012.06.08
박목사네 첫 가정예배 스케치(전문) (3)   2009.02.07
박목사네 첫 가정예배 스케치(주보용)   2009.02.07
박목사의 이런 저런 답답한 마음입니다.^^; (1)   2014.11.08
박순례 할머니를 찾아 뵙고... (1)   2015.08.14